이 연구 프로젝트는 삼국 시대(기원전 1세기 ~ 기원후 10세기) 동안 한반도의 집단적 정체성을 공간적 전환이라는 개념과 그 활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삼국 시대 동안 인구와 개인의 이동은 새로운 공동체가 신흥 한반도 국가들에 통합되는 메커니즘과 그 결과를 연구하기 위한 도구로 제안됩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이 더 큰 사회적 계층화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관찰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엘리트들이 정치적·사회적 경계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조사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를 위해 김부식이 1142년에서 1146년 사이에 편찬한 삼국사기와 1280년대에 승려 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에 나타난 공간적 경계 전환의 순간들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전환된 두 공간과 그 전환점을 정의함으로써, 삼국 시대 동안의 집단의 동화 및/또는 분리, 그리고 사회적 분리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심지 관점은 한반도 동해안과 같은 국가 및 비국가 사회가 상호작용하던 경계 공간의 현실과 대조되어 연구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