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수
‘평등을 향한 길: 포용성 기반 한국학 네트워크’ 프로젝트 책임자 (AKS-2021-INC-2250002)
- Telf.: 951 95 20 34
- E-mail: ajdomenech@uma.es
- Office: 1.51 (Faculty of Social and Labor Studies)
인류학자, 한국 및 동아시아 종교 역사학자. 사회인류학 박사. 말라가대학교 동아시아학-한국학과 교수. 말라가대학교 동아시아학-한국학 학위 과정 코디네이터.
한국 사상, 문화 및 예술 작품 번역가.
한국 교육부 연구 프로젝트 “Path to Equality: Korean Studies Network on Inclusiveness” 책임 연구원.
한국 국립 역사 연구소 해외 역사 자료 연구원. 말라가 대학교 한국 사무소장.
연구 주제: 동아시아 특히 한국 종교 및 철학, 한국, 한국 여성의 종교 경험과 실천, 무속 신앙, 불교, 유교, 한국의 젠더, 동아시아 국제 협력.
대한민국 대통령 ‘화관문화훈장’ 수여. 제5회 한국문학번역상 공로상 수상
전공 분야
동아시아학-한국학
학위
사회인류학 박사
강의 과목
- 동아시아 종교사 (동아시아학-한국학과)
- 한국 사상과 종교: 텍스트를 통해 (동아시아학-한국학과)
- 동아시아 현대사 (동아시아학-한국학과)
- 샤머니즘, 자연과 종교적 실천 (동아시아학-한국학과)
- 한국 대중문화 (동아시아학-한국학과)
- 한국과 스페인·라틴아메리카의 관계 (동아시아학-한국학과)
- 문화와 종교의 인류학 (국제협력 및 개발정책 석사과정)
소속
정교수
관심 분야
- 한국 문화와 종교
- 한국 및 동아시아 여성의 종교적 경험과 실천
- 샤머니즘과 불교
- 문화 간∙종교 간 대화
- 한국 사회의 평등과 포용
연구 분야
- 한국 신화, 민족주의 및 정체성 형성
- 한국 여성의 종교 실천: 민속 신앙, 특히 무속, 불교, 기독교 관련
- 한국 무속의 역사적∙현대적 전개
- 한국 불교
- 유교와 불교 전통 속에서 발전한 한국 사상
- 한국의 새로운 사회운동과 도시 대중문화를 통한 정체성 형성
- 문화 간·종교 간 대화
- 역사적, 인류학적, 젠더 관점에서 본 한국 사회의 평등과 포용 과정 연구
번역 활동
- 한국 문화 및 예술과 관련된 한국 출판물의 스페인어 번역
최근 10년간 주요 출판물
저서 및 번역서:
동아시아의 사상과 종교 (2005), Barcelona, Editorial UOC (ISBN 978-84-9788-131-9)
격몽요결 (2011), Madrid, Ed. Verbum (ISBN 978-84-7962-698-3)
경주 남산: 신라 정토불상에 대한 고찰 (2009), Ed. Youlhwadan (ISBN 978-89-301-0344-2), Ed. Berenice (ISBN 978-84-96756-07-6)
한국 문화의 열다섯 가지 코드 (2012), Buenos Aires, Under the Moon Editorial (ISBN 978-987-1803-28-6)
가고 싶은 곳 – 머물고 싶은 곳: 고대 한국 사찰에서 건축과 역사의 만남 (2014),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출간 준비 중)
Doménech del Río, A.J. and Chica Morales P. (ed.), (2022), 잃어버린 총알, 이중 언어판, UMA Editorial
책 챕터:
Domenech, A.J. (2022). 유교적 결혼에서의 역할 분담: 『여훈』(1475)을 중심으로. In Sources for the study of women’s history, Ed. Comares, pp. 241-244
Doménech, A. J. (2022). 무당과 관료: 이규보의 「노무당의 노래」 분석. In Sources for the study of women’s history, Ed. Comares, pp. 159-162
Domenech del Rio, A.J. and Kang, E.K. (2022). 한국 무속의례 속의 젠더. In Asian Community and Europe, Pisa: Pacini Editore, pp. 53-72
영화를 통해 본 한국인의 종교적 신념과 실천 (2015), in Korea: K-pop multimediale, Aracne editrice
샤머니즘과 한국 무당들: 형성되는 정체성들 (2014), in Shamanism in the World Today, Madrid, Plaza and Vades, pp. 91-108
한국 여성의 세계 속 영혼, 유령 그리고 신들 (2010), in Fantastic Cinema 100% Asia, University of Malaga, pp. 183-203
한국의 가족과 여성: 근대성과 변화 (2010), in Challenges of Contemporaneity: Korea-Latin America, Buenos Aires: Antropofagia, pp. 173-185
한국 정체성 형성에서의 사학의 역할 (2010), in Current Studies on Korea, Granada, Entorno Grafico, pp. 13-29
http://www.uclm.es/area/fae/ceicws/pdfs/libro7.pdf누에보레온의 KIA: 한국화와 사회적 책임 (2019), University of La Plata, Argentina
한-스페인권 학술 교류의 다문화적 측면과 한국학에의 시사점 (2019), Inter-American Open University, Argentina
- ‘우리’에서 새로운 ‘한국 부족’으로: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공동체 개념과 실천의 변화 연구 (2017), in Korea, yesterday and today. Latinoamerican contributions, Autonomous Metropolitan University, Mexico City
학술 논문:
Doménech del Río, A. J., Martín-Casares, A. and Kang E.K. (2023). 세계적 소설가 비센테 블라스코 이바녜스(1923)가 본 한국, 한국인, 풍속 / Review Article.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36(1), 333-352
환상과 현실의 흔적 뒤편에서 (2014), LIST. Books from Korea, Vol. 25 Fall 2014, pp. 60-61
한국 탈춤 (2014), La Ratonera. Asturian Theater Magazine, Nº 39. June 2014, pp. 135-145
한국과 스페인어권 국가들 간의 문화 교류의 다리 (2014), LIST. Books from Korea, Vol. 23 Spring 2014, pp. 78-79
『구운몽』에 나타난 종교 간 대화의 꿈 (2013), Mungwheongwa Haeseok, vol. 64, pp. 129-138
굿, 한국의 무속 의례 (2011), LIST. Books from Korea, Vol. 11, pp. 48-51
한국 불교에서의 여성 (2010), in Living in the Terra Incognita, La Ortiga, pp. 73-84
무당과 유학자: 한국에서 종교와 사회적 인정 (2020), Ilu. Journal of the Science of Religions
전문성 획득을 위한 여정: 한국 고고학과 대학 학위 제도의 형성 (1945–1979) (2017),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30(1), pp. 71-96
2017년, 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학의 보급에 기여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화관문화훈장을 수훈.
같은 해, 제5회 한국문학번역상 공로상 수상.
Condecorado con The Hwangwan Order of Culture Merit del gobierno de la República de Corea en reconocimiento a su contribución para promover el idioma y la literatura coreana en España e Iberoamérica (2017), retransmitido por la televisión pública (KBS1).

한국문학번역원 Arirang Special World Odyssey documenta la etapa del profesor Antonio J. Doménech durante su etapa en Corea.

En el documental se recoge la etapa del profesor Antonio J. Doménech durante su estancia en Corea. En las entrevistas con el profesor se descubre su interés y sus experiencias descubriendo la esencia del país.

El profesor Antonio J. Doménech es el subdirector del Diploma en Especialización en Relaciones Corea-Noreste Asiático, España y Latinoaméri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