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수
“조선시대 한국의 자유를 향한 길: 동아시아적 맥락에서의 노예제와 폐지운동” 프로젝트 책임자 (PID2020-116910GB-I00)
“한국의 기생 노비: 허구와 현실 (16세기–20세기)” 프로젝트 책임자 (PID2023-150610NB-I00)
- Telf.: 951 95 27 16
- E-mail: aureliam@uma.es
- Office: 1.46 (Faculty of Social and Labor Studies)
파리 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에서 역사 및 문명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말라가대학교 동아시아학-한국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학, 역사 인류학 및 젠더학 전문가이다. 2017년부터 유네스코 국제 과학 위원회 (인문과 사회 과학 – 노예)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고, 툴루즈 르 미랄 대학, 버클리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 퀸 메리 대학, EHESS-파리 등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구 센터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스페인 과학 기술부, 국제 협력 기구 (스페인), 안달루시아 주 등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지휘하고 있으며, 말라가대학교 동아시아 여성 연구 네트워크의 책임자이다. 한국 연구 아카데미 및 유럽 연합이 자금을 지원하는 연구 프로젝트에 협력하고 있다. 또한 Presses Universitaires de la Sorbon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Harmattan-Paris, Peter Lang, Iberoamericana-Vervuert 등에서 출판된 책을 저술했으며,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isual Anthropology, Slavery & Abolition, Anthropological Notebooks, Renaissance and Reformation, European History Quarterly 등의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기고했다. 영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를 구사하고 한국어와 아랍어에도 어느 정도 능숙하다. 국립인천대학, 베니스 카 포스카리 대학, 노바 리스본 대학, CUNY 뉴욕 대학교, 옥스포드 대학, 니스 대학, 튀니지 대학, 퀸 메리 대학 및 CILAVS 런던 등 다양한 국제 대학에서 강의 경험이 있다. 2016년 유럽-아프리카 역사적 및 문화적 연구소에서 출판한 한국의 역사를 홍보하는 책을 출판했으며, 최근 몇 년간 한국학과 동아시아 분야에 집중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전공 분야
말라가대학교 동아시아학 / 그라나다대학교 사회인류학
학위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EHESS) 역사 및 문명 박사
스페인 그라나다대학교 철학 및 문학 박사
강의 과목
동아시아 종교사 (동아시아학 학사과정)
한국 문학 텍스트 읽기 (동아시아학 학사과정)
샤머니즘, 자연과 종교적 실천 (동아시아학 학사과정)
한국의 민속문화 (동아시아학 학사과정)
소속
교수
관심 분야
역사인류학, 사회인류학: 전 세계의 노예제, 혼혈, 폐지운동
젠더 연구, 여성사: 조선시대 한국의 여성 노예제
역사와 문학: 1850~1950년 스페인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기타 활동 및 소속
2017년부터 유네스코 ‘노예의 길’ 국제과학위원회(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of the Slave Route) 위원
(https://en.unesco.org/themes/fostering-rights-inclusion/slave-route/isc)여성학 네트워크 “동아시아 여성학 연구 네트워크: 중국, 일본, 한국” 총괄
(참여 대학: 마드리드자치대학교, 그라나다대학교, 로비라 이 비르질리대학교, 발렌시아대학교, 말라가대학교)
대중 참여 활동 (다큐멘터리, 영상, 라디오 등):
- https://www.youtube.com/watch?v=5XIkHCk_76A,
- https://www.youtube.com/watch?v=F_3NICtZniM,
- https://vimeo.com/344664522
- https://vimeo.com/146310886
- http://www.rtve.es/alacarta/audios/memoria-de-delfin/memoria-delfin-esclavitud-explotacion-humana-inherente-paso-del-tiempo-07-12-19/5460244/
- http://www.rtve.es/alacarta/audios/documentos-rne/documentos-rne-esclavitud-espana-realidad-olvidada-15-06-19/5266837/
연구 및 프로젝트 수행 경력
국가 연구계획(MEC, MICCIN, MINECO) 하에 총 5개 R&D 프로젝트 및 1개 탁월성 네트워크의 책임연구자(PI)
안달루시아 연구계획 과제 3건 및 대학 간 협력 프로젝트(AECI) 1건 주관
국가 연구개발계획(MTAS, MICCIN) 하의 3개 프로젝트 공동연구자
FECYT 연구입문 프로젝트(FCT 12-3252) 3건 참여
리에주대학교 주관 제5차 유럽 프레임워크 프로그램 프로젝트 참여
프랑스 외교부(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의 EGIDE 프로그램 프로젝트 2건 연구팀 참여
ANEP 논문 심사위원
출판 및 학술 활동
스페인어,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로 국제 학술지에 논문 다수 게재
Cambridge University Press, Peter Lang Academic Publishing, Presses Universitaires de la Sorbonne, L’Harmattan 등에서 영문 및 불문 단행본 챕터 출판
Renaissance & Reformation, European History Quarterly 등의 학술지 논문 심사자
국제 연구 및 강의 활동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밴쿠버), University College London, EHESS-Paris, Queen Mary College-London, Université de Toulouse Le Mirail 등에서 연구 활동
University of Oxford, 파리 스페인 대학, 뉴욕 시립대학교(CUNY), University of Cambridge, Université de Nice, Université de Tunis, Birkbeck College-London 등에서 강의 및 발표
언어 능력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유창하게 구사 (말하기, 읽기, 쓰기)
고전 아랍어 전공 (아랍어 문헌 독해 가능)
한국어: 읽기 및 쓰기 가능
활동
2023년 개막된 벨라스케스의 ‘후안 데 파레하’ 초상화 전시 관련,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자문위원회 위원
논문
Martín Casares, A. (2024); 스페인 노예법: 스페인과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노예제와 폐지 과정, in Transatlantic Bondage, Slavery and Freedom in Spain, Santo Domingo and Puerto Rico, Sunny Pres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artín-Casares, A., & Botella, L. (2024). 스페인 언론에 나타난 최초의 한국 이미지들: 폰 헤세-바르테그와 사닌 카노, Visual Anthropology, 37(2), 99-125. https://doi.org/10.1080/08949468.2024.2319016
Domenech del Rio, A. J., Martin-Casares, A. and Kang E.K. (2023). 세계적인 소설가 비센테 블라스코 이바녜스(1923)가 본 한국과 한국인의 모습,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36(1), 333-352.
Martín Casares, A., Castilla, C. and Vera, M. (2023):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상업신문(1823–1826)에 등장한 아프로-아르헨티나인들, Temas Americanistas, no. 51, pp. 518-536.
Martín Casares, A., Yáñez Ramirez, T. (2022). 푸에르토리코 관보(1836–1845)에 나타난 여성 노예, Hispanic Research Journal, pp.109-124. https://doi.org/10.1080/14682737.2021.2030517
Martín Casares, A. and Kang, E.K. (eds.): “한국의 여성과 젠더”,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 Studies (단행본 특집호), 2022.
Chica Morales, P., & Martín Casares, A. (2022). 사이버 공간에서 활동하는 ‘신남성연대’ 재남성주의 담론: 청년층 확산과 한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 Dilemata, (38), 193-207. https://www.dilemata.net/revista/index.php/dilemata/article/view/412000486
Cañelles López, M., Martín Casares, A., Botella Sánchez, L., 외. (2022). BiFiSo-CSIC: 팬데믹에 맞선 다학제적 대응의 성과, https://theconversation.com/bifiso-csic-balance-de-una-lucha-multidisciplinar-contra-la-pandemia-159180
학술대회 발표
Martín Casares, A.: 조선시대 한국의 기생 노예 여성들(1392–1910), 동아시아 여성학 네트워크 학술 포스터 전시, 말라가대학교 교육대학 (2022년 3월 22일)
Botella Sánchez, L., Martín Casares, A.: 지중해의 개척 여성들: 말라가에서 한국으로 간 아말리아 아마도르, 국제 지중해학회 학술대회, NOVA 리스본 사회인문대학 (2022년 5월 25–28일)
Chica Morales, P., Martín Casares, A.: ‘한국 문제’: 스페인 제1공화국 대통령 에밀리오 카스텔라르의 시선, 제11회 세계한국학대회,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10월 20일)
Doménech del Río, A.J. and Martín Casares, A.: 스페인 소설가 블라스코 이바녜스(1923)의 눈에 비친 한국과 그 사람들, 제11회 세계한국학대회,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10월 20일)
Martín Casares, A. and Chica Morales, P.: 코로나19 팬데믹 속 말라가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방법 적응 사례 – Erasmus+ CBHE CALESA 프로젝트 시각에서 본 디지털 다언어 사회 속 교육 혁신, 리스본 NOVA 대학교 (2022년 9월 20일)
Martín Casares, A.: 스페인 제1공화국 대통령 에밀리오 카스텔라르의 ‘한국 문제’ 인식, 제2회 국제학술대회 ‘동서양의 지식 교류와 한국학’ – 베네치아 카포스카리대학교 (2022년 4월 22일)
Martín Casares, A.: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스페인 문서에서 나타나는 피부색 인식, 제7회 국제학술대회 CHARTA, 그라나다대학교 (2022년 6월 8–10일)
Aurelia Martín Casares, profesora del Área de Estudios de Asia Oriental, reivindica la importancia histórica de Juan Latino, el primer esclavo afroeuropeo que en el Renacimiento llegó a ser catedrático en una universidad española: la de Granada.
